About


Hyunju Oh [*1988 in Daegu, South Korea] studied painting, media art, experimental art and sound art composition. She lives in Germany and Korea and works in the fields of intermedia installation, performance, video, drawing and photography.

She has been invited to international festivals and exhibitions: Saarländisches Künstlerhaus (S), Nassauischer Kunstverein Wiesbaden (S), Frequenz Festival 2022 (S), Opelvillen Rüsselsheim (S), Klangkunst in Industrie Kultur - Kulturfonds Frankfurt RheinMain (S), DYSTOPIE Sound Art Festival 2020 Berlin (G), Kunstverein Ludwigshafen (G), Kunstverein Lübeck (G), Morat Institut Freiburg (G) etc. In addition, her radiophonic audio piece “mutterseelenallein” was broadcast in the program “The Artist's Corner” of the Radio Frankfurt (hr2-kultur).

She has won competitions and received grants/support from basis Frankfurt (2020-26), ZK/U Berlin (2020), Deutschlandstipendium (Germany Scholarship 2019/20, 2021/22), Cultural Foundation of the State of Schleswig-Holstein (2019), Rhineland-Palatinate Foundation for Culture & Ministry for Family Affairs, Women, Culture and Integration Rhineland-Palatinate (2020, 2021, 2023/24), Hessian Ministry of Higher Education, Research, Science and the Arts (2024), Deutscher Künstlerbund e.V. (2024), Rudolf Augstein Stiftung (2024/25) and Arts Council Korea (2020, 2021, 2022), among others.

Hyunju Oh makes inner stories visible and audible in various aspects and forms of presentation. She deals intimately with the common fragility and complexity of our time and realizes its implication as a metaphorical and theatrical audiovisual moment that creates a variety of levels and associations. Her installations, a scenic aggregate of allegorical expressions, emphasize existences and times (in a space) with sculptural-plastic sound scenes, and she experiments with cognitive transformations and corresponding interplays.

Hyunju Oh currently works in a studio at basis Frankfurt.

오현주(1988, 대구 출생)는 서양화, 미디어아트, 실험예술 및 사운드아트-작곡을 전공했으며, 독일과 한국을 기반으로 인터미디어 설치와 오디오 드라마 설치, 사운드 설치, 퍼포먼스, 영상, 사진, 텍스트 등 다양한 프로젝트들을 진행한다.

작가는 독일 자르브뤼켄 잘란트 퀸스틀러하우스 Saarländisches Künstlerhaus (S), 컨템포러리아트센터 쿤스트페어라인 비스바덴 Nassauischer Kunstverein Wiesbaden - Centre for Contemporary Art (S) Frequenz 페스티벌 2022 (S), 오펠문화재단 미술관 Opelvillen Rüsselsheim (S), 프랑크푸르트 라인마인 문화기금 프로젝트 Klangkunst in Industrie Kultur (S), 베를린 DYSTOPIE 사운드아트 페스티벌 2020 (G), 독일 루드빅스하펜 쿤스트페어라인 (G), 독일 쿤스트페어라인 뤼벡 오버벡 게젤샤프트 파빌론 (G), 독일 징엔 시립미술관 (G), 독일 Morat Institute Freiburg (G) 등 여러 국제 사운드아트 페스티벌 초청 및 다수의 개인전-그룹전을 가졌다. 그 외에도, 라디오 오디오 작품 'mutterseelenallein'이 독일 제1국영방송국 ARD 회원국 라디오 프랑크푸르트(hr2-kultur)의 'Artist's Corner’에 방송되었다.

또한 basis Frankfurt (2020-26) 및 ZK/U Berlin (2020), 독일연방교육연구부 Deutschlandstipendium-독일장학금 (2회 수상 - 2019/20, 2021/22), 독일 Schleswig-Holstein 연방주 문화재단 (2019), 독일 Rheinland-Pfalz 연방주 문화재단 및 Rheinland-Pfalz 연방주 가족, 여성, 문화 및 통합부 (2020, 2021, 2023/24, 2024), 독일 헤센 연방주 과학, 연구, 예술 및 문화부 (2024), 독일예술인협회 (2024), 독일 주간지 “슈피겔“ 창립자 - 루돌프 아우크슈타인 재단 (2024/25),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20, 2021, 2022) 등 여러 지원금 및 예술상에 선정되었다. 

오현주 작가는 내면의 이야기를 다양한 측면의 프레젠테이션 방식으로 가시화한다. 시대적 공통된 취약성과 복잡성을 내밀하게 다루며, 은유적이면서 연극적인 오디오 비주얼 모멘트로 함축하여 여러 심층과 연상이 생성되도록 유도한다. 알레고리컬한 표현의 풍경적 집합체인 설치물들은 조각적 조형 사운드 씬들을 통해 (공간 내) 여러 존재성과 시간성을 부각시키고, 이에 따른 인지 변화와 상호작용을 실험한다.  

현재 독일 프랑크푸르트에 위치한 basis Frankfurt 스튜디오에서 작업하며 활동 중이다. 


Co-evolution of Existence, Time and Emotion

- Resonance for emotional debris of a misunderstood time -

EN)

My art is an unprotected yet protective space. Here, empirical traces can be revived and echoes of memory fragments discovered: resonance for emotional debris of a misunderstood time. Here the inner world can vibrate freely. Here I unfold inner experiences and stories about the co-evolution of existence, time and emotion.

Depending on the artistic concept, I make the stories - (re)constructed through expansion and condensation of the emotional landscape - visible and audible in various aspects and different ways of presentation: as intermedial installation, audio drama installation, sound installation, performance, video, photo and text.

My immersive audio drama installations - stages for inner resonance and time-spaces for reflection - consist of spoken text (narration), invisible protagonists, light, objects, sounds and noises (as surround sound). They are conceived as intimate spaces for the remnants of a bygone time that has not yet been abandoned. These temporary situations negotiate the coexistence of opposing relationships of the material and the immaterial, of reality and unreality, and give rise to spaces of polyphonic resonances. To do this, I placed speakers (as organs of speech and sound) at various positions in the exhibition space and combine them with intuitive, symbolic objects, resulting in sculptural sound scenes.

My audio drama installations are a scenic aggregate of allegorical representations and language in which intimate, at the same time collective/universal memories and emotions communicate associatively through abstract narratives. In these places I listen to the common sounds of my, our neglected, frequently suppressed, often overheard or unheard emotions.

Ko-Evolution von Existenz, Zeit und Emotion

- Resonanz für emotionale Trümmer einer unverstandenen Zeit -

DE)

Meine Kunst ist schutzloser Schutzraum. Hier lassen sich empirische Spuren beleben und Echos von Erinnerungsfragmenten entdecken: Resonanz für emotionale Trümmer einer unverstandenen Zeit. Hier kann die innere Welt frei schwingen. Hier entfalte ich innere Erlebnisse und Geschichten zur Ko-Evolution von Existenz, Zeit und Emotion.

Die Geschichten – (re)konstruiert durch Expansion und Kondensation der emotionalen Landschaft - mache ich je nach künstlerischem Konzept in verschiedenen Aspekten und unterschiedlichen Präsentationsweisen sicht- und hörbar: als intermediale Installation, Hörspielinstallation, Klanginstallation, Performance, Video, Foto und Text. 

Meine immersiven Hörspielinstallationen - Bühnen für innere Resonanz und Zeiträume zur eigenen Reflexion - bestehen u.a. aus gesprochenem Text (Narration), unsichtbaren Protagonist*innen, Licht, Objekten, Klängen und Geräuschen (als Surround Sound). Sie sind konzipiert als intime Räume für die Überreste einer vergangenen, noch nicht verlassenen Zeit. Diese temporären Situationen verhandeln die Koexistenz gegensätzlicher Beziehungen von Materiellem und Immateriellem, von Wirklichkeit und Unwirklichkeit und lassen Räume polyphoner Resonanzen entstehen. Hierzu platziere ich Lautsprecher (als Sprech- und Klangorgane) an verschiedenen Positionen im Ausstellungsraum und kombiniere sie mit intuitiven, symbolischen Objekten, so dass sich skulpturale Klangszenen ergeben.

Meine Hörspielinstallationen sind ein szenisches Aggregat aus allegorischen Darstellungen und Sprache, in denen sich intime, zugleich kollektive/universelle Erinnerungen und Emotionen durch abstrakte Erzählungen assoziativ mitteilen. An diesen Orten lausche ich den gemeinsamen Klängen meiner, unserer vernachlässigten, vielfach unterdrückten, oft über- oder ungehörten Emotionen.

존재와 시간, 감정의 공진화

- 이해받지 못한 시간의 감정 파편들을 위한 공명 -

KR)

나에게 예술은 보호되지 않는 보호의 공간입니다. 그곳에선 경험적 흔적이 되살아나고 기억의 파편들의 메아리가 발견될 수 있습니다: 이해받지 못한 시간의 감정 파편들을 위한 공명. 그곳에서 내면의 세계는 자유로이 공명할 수 있습니다. 그곳에서 나는 존재와 시간, 감정의 공진화에 대한 내면적 경험과 이야기를 펼칩니다.

예술적 컨셉에 따라, 정서가 담긴 풍경을 확장하고 응축하여 (재)구성된 스토리들은 인터미디어 설치, 오디오 드라마 설치, 사운드 설치, 퍼포먼스, 영상, 텍스트 등 다양한 측면과 여러 프레젠테이션 방식을 통해 가시화됩니다.

내면의 공명을 위한 무대이자 자기성찰의 시공간인 본인의 몰입형 오디오 드라마 설치물들은 음성 텍스트 (내레이션), 보이지 않는 주인공, 빛, 사물, 소리 및 소음 (서라운드 사운드)으로 구성됩니다. 이들은 지난 시간의, 그러나 아직 버림받지 않은 시간의 잔재를 위한 내밀한 공간으로 고안됩니다. 이러한 일시적인 상황들은 물질과 비물질, 현실과 비현실 사이 상반된 관계의 공존을 교섭하며 다성적 공명의 공간을 생성합니다. 이를 위해 스피커들을 (언어와 소리의 기관-Organ으로써) 전시 공간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하고 이를 직관적이고 상징적인 오브제와 결합하여 조형적 사운드 씬들을 만들어냅니다.

알레고리적 표상과 언어의 풍경적 집합체인 본인의 오디오 드라마 설치물들은 추상적 내러티브를 통해 내밀하면서도 집단적 / 보편적 기억과 감정이 연상적으로 전달됩니다. 그곳에서 나는 외면 시 되고, 빈번히 억압되며, 때로는 지나쳐 가거나 닿지 않았던 나와 우리의 공통된 감정 소리에 귀 기울입니다.